2000년 시작후 9,100여 위 발굴…113명 가족 품으로
  • 2015년 국방부 유해발굴사업 설명회에 참가한 유가족들. ⓒ 뉴데일리
    ▲ 2015년 국방부 유해발굴사업 설명회에 참가한 유가족들. ⓒ 뉴데일리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서울지역 6·25전사자 유가족과 보건소 와 행정기관 관계자 150여 명을 초청해 '유해발굴사업 설명회'를 25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00년 6·25전쟁 50주년을 맞아 한시적으로 시작된 유해발굴 사업은 2007년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창설 후 지속되고 있다. 현재까지 국군전사자 9,100여 위를 발굴했고 그 중 신원이 확인된 113명의 전사자는 가족 품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현재 미수습 전사자는 13만3000여 명으로 알려져있다.

    이번 사업 설명회는 유해발굴사업 추진현황, 유가족 유전자(DNA) 검사절차 소개, 우수 보건소·행정기관 감사패 수여, 의견수렴,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총탄에 뚫린 철모, 수통 등 유해발굴지역에서 찾아낸 전투 장비 및 유품 전시도 함께 진행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지속적인 유가족 상담과 전사자 DNA 채취에 도움을 준 동대문구 보건소와 신원 조회에 큰 기여를 한 성북구청에 국방부장관 감사패를 수여할 예정이다.

    국방부 유해발굴 사업은 발굴준비, 발굴·수습, 신원 감식, 후속조치 등 총 4단계로 진행된다. 발굴 첫 단계인 준비과정에서는 전투기록을 분석하고 참전자 증언을 확보해 발굴지를 결정한다. 이후 발굴 단계에서는 문화재를 발굴할 때 처럼 정밀한 기술을 이용해 유해를 발굴한다. 이 때 유품과 기록, 증언 등 감식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함께 수집한다.

    세 번째 신원 감식 단계에서는 정밀 감식을 통해 성별, 나이, 사망원인등을 감식한다. 신원 감식이 끝나면 유해와 유가족 간 유전자(DNA) 일치도를 검사해 유해의 가족을 찾는다. 다량의 유전자 정보와 신원 정보가 필요한 이 과정에서는 보건소와 행정기관과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유해발굴이 끝나면 신원 확인 결과에 따라 현충원에 봉안하게된다. 신원 미확인자는 4~5년간 감식소에 보관돼 정밀감식을 다시 거친 후 국립현충원에 안치된다. 외국인 전사자의 경우 해당국에 인계된다.

    국방부는 "이번 행사를 통해 전사자 유해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유가족들을 위로하고 유해 발굴 사업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시켜 줄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이후 오는 9월에는 광주·전남 지역 전사자 유가족과 보건소와 행정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를 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