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외교관 강제추방 소식에 과거 추태 재조명…밀수하다 쫓겨나고 음주운전 살인까지
  • 北인민군 훈련을 참관하는 김정은. 서류 아래의 가방은 '몽블랑' 제품이다. 김정은과 그 일가는 호화명품을 사용하는데 그 돈은 모두 '외화벌이'를 통해 얻은 것이다. ⓒ北선전매체 캡쳐
    ▲ 北인민군 훈련을 참관하는 김정은. 서류 아래의 가방은 '몽블랑' 제품이다. 김정은과 그 일가는 호화명품을 사용하는데 그 돈은 모두 '외화벌이'를 통해 얻은 것이다. ⓒ北선전매체 캡쳐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지난 23일(현지시간), 탄자니아 정부가 전직 북한 외교관을 강제추방 했다고 보도했다. 혐의를 ‘외교관 여권 위조’였다.

    ‘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강성국(58)이라는 駐탄자니아 북한 대사관 전직 직원이 지난 2월 23일 현지 공항에서 이민국 수사관에게 체포됐다고 한다. ‘외교관 여권’을 위조한 뒤 불법 출입국 및 불법 사업을 벌인 혐의였다. 탄자니아 정부는 강 씨를 조사한 뒤 강제 추방 및 영구 입국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한다.

    탄자니아 정부의 조사에 따르면, 강 씨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駐탄자니아 북한 대사관에서 근무를 했는데, 이후에도 네 번에 걸쳐 각기 다른 이름, 생년월일이 기재된 위조여권으로 탄자니아를 드나들었다는 것이다.

    탄자니아 정부에 검거될 당시 강 씨는 자신을 中광저우에 사는 사업가라고 주장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고, 현지 북한대사관 또한 그에 대해 신원증명을 해주지 않았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 측은 소식통을 인용, “강 씨가 탄자니아에서 근무할 때 경제 참사관 신분으로 탄자니아, 잠비아, 남아공을 돌며 코끼리 상아 밀수, 마약 밀매, 불법무기 운송 등의 불법행위를 일삼았다”고 전했다. 이 같은 불법 사업을 통해 김정일에게 수백만 달러를 갖다 바쳐 2000년에는 ‘노력 영웅’ 칭호를 받기도 했다는 것이다.

    강 씨가 ‘외교관 여권’까지 위조해 불법 출입국과 불법사업을 저지르다 강제추방 된 소식이 알려지자 국내에서는 그동안 있었던 북한 외교관들의 추태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월 7일, 中단둥에서는 ‘염철준’이라는 북한 외교관이 북한 장거리 미사일을 축하하는 파티를 벌인 뒤 음주운전을 하다 중국인 3명을 숨지게 한 사건이 일어나 논란이 됐다. 당시 ‘염철준’은 음주운전을 하면서 추월을 하려고 무리하게 중앙선을 넘었다가 맞은 편에서 달려오던 택시와 정면충돌했다고 한다.

    사고 이후 中공안당국은 염 씨에게 형사처벌과 별도로 150만 위안(한화 약 2억 8,000만 원)을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결국에는 북한 당국이 배상을 했다고 한다. 中현지 언론들은 “사고 당시 염 씨의 차량은 보험 가입도 돼 있지 않았다”고 전해 현지 주민들은 염 씨는 물론 북한 외교관들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갖게 됐다는 후문이다.

    2015년 12월 23일(현지시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북한 외교관을 강제추방 했다. 전 세계적으로 거래가 금지된 코뿔소의 뿔을 밀거래하다 적발된 것이다. 2015년 5월 남아공 당국에 붙잡힌 북한 외교관들은 인접국 모잠비크에서 코뿔소 뿔을 밀거래했다고 한다.

    2015년 10월 18일(현지시간)에는 브라질 정부가 북한 외교관을 강제추방 했다. 9월 27일 파나마를 떠나 브라질 상파울루 공항으로 입국하다 쿠바산 시가를 밀수하던 게 적발된 것이다. 당시 브라질 세관 당국은 북한 외교관이 3,800개피의 시가를 몰래 들여오려 했다고 밝혔다.

    2015년 3월 5일(현지시간)에는 방글라데시 다카 공항으로 입국하던 북한 외교관들이 현지 세관에 붙잡혔다. 무려 27kg의 금괴를 밀반입하려다 적발됐다고 한다. 북한 외교관들은 곧 풀려났지만, 금괴는 모조리 압수 당했다.

    이 같은 북한 외교관들의 행태는 김정은 집단이 수하들에게 명령하는 ‘외화벌이’가 실은 대부분 국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범죄’라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북한이 외교관으로 해외에 파견하는 이들 가운데 다수가 실제로는 외교행위와는 관계없는, ‘외화벌이 일꾼’이라는 점도 알 수 있다.

    현재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와 한국, 미국, 일본 등의 독자 대북제재는 북한의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 북한 주민 인권 등의 문제에만 집중하고 있는데, 이와 별개로 북한 정권을 테러조직과 같은 ‘범죄 집단’으로 규정하고, 유엔 회원국들이 북한 정권 관계자의 해외 활동을 집중적으로 감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는 배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