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은하2호’ 미사일 발사 당시에도…국정원 추적 결과 北소행
  • ▲ 기상청의 GIS 정보 기반 날씨 서비스 화면. 기상청은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기상정보를 예측하고 있다. ⓒ오픈소프트웨어 포털 서비스 캡쳐
    ▲ 기상청의 GIS 정보 기반 날씨 서비스 화면. 기상청은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기상정보를 예측하고 있다. ⓒ오픈소프트웨어 포털 서비스 캡쳐

    북한이 지금까지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때마다 한국 기상청의 정보를 참고로 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는 정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 “북한이 지난 7일 로켓을 발사할 때도 한국 기상청의 기상정보를 활용했다”고 지난 14일 보도했다.

    ‘한국경제’는 “당초 북한은 국제해사기구(IMO)에 장거리 미사일 발사 예정 기간을 2월 8일부터 25일로 통보했으나, 지난 6일 갑자기 7일부터 14일로 앞당긴다고 수정 통보했다”고 지적한 뒤 “7일 오전에는 中상하이 부근에 있는 고기압의 영향으로 날씨도 맑고 바람도 거의 없어 미사일 발사에는 최적의 날씨였다”는 기상청 관계자의 말을 인용, 북한이 한국 기상청을 해킹해 미사일 발사 일정을 골랐을 가능성이 높음을 내비쳤다.

    ‘한국경제’와 접촉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한국 기상청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상정보를 이용해 미사일 발사 날짜를 결정하고 있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라면서 “2009년 북한이 무수단리 발사장에서 ‘은하2호’를 쏘아 올릴 때도 기상청 기상정보시스템에 불특정 IP가 대량 접속한 사실이 적발된 바 있는데 국정원의 IP 추적 결과 북한 소행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 정부 관계자는 2009년 북한이 기상청 기상정보시스템에 접속했다는 사실이 드러난 뒤 국정원이 “구체적인 기상 정보는 극소수 인원만 볼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바꾸라”고 권고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기상청은 홈페이지에는 기본적인 정보만 올려놓고 내부 인원만 접속할 수 있는 별도의 방재기상정보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내부망 시스템’ 또한 북한이 공공연히 들여다보고 있다는 게 정부 관계자의 주장이었다.

    ‘한국경제’의 보도에 기상청은 “지난 8일 기준으로 1주일을 전후로 방재기상정보시스템 접속 IP를 분석한 결과 해킹 흔적은 발견하지 못했다”는 답변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경제’의 설명에 따르면, 한국은 물론 북한 또한 ‘세계기상통신망(GTS)’을 통해 세계 191개국과 기상 관측자료를 실시간으로 교환하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이 기상 관측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슈퍼컴퓨터와 숙련된 예보관의 분석이 필요한데 북한에는 그럴 만한 역량이 없다고 한다.

    기상청은 북한의 해킹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하지만 만약 ‘한국경제’의 보도가 사실일 경우 북한이 한국 내의 정보를 십분 활용해 대남도발을 일으킬 것이라는 추정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