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歷史 교육, 정쟁·이념 가르면 안돼" 친일 좌파에 경고!
  •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과 관련, "역사 교육은 결코 정쟁이나 이념 대립으로 국민들을 가르고 학생들을 나눠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방미(訪美)에 앞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올바른 역사관을 가지고 가치관을 확립해서 나라의 미래를 열어가도록 하는 것은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우리가 필연적으로 해 주어야할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북한 찬양을 바로잡아야 할 역사 전쟁]이라고 불리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박 대통령은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나라에 대한 올바른 역사관은 매우 중요하며 확고한 역사관과 자긍심을 심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지금 세계의 지평은 날로 넓어지고 있고 세계가 하나가 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대한민국에 대한 확고한 역사관과 자긍심을 심어주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우리는 문화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을 수도 있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각계 의견을 잘 반영해서 올바른 역사 교과서가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대통령이 주재하는 수석비서관 회의는 격주로 월요일에 열린다. 박 대통령이 화요일이자 미국 출국 직전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것은 "친일-독재"를 주장하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앞뒤 없는 정치공세를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사실 곰곰히 따져보면 친일파의 후손들이 대거 모여 있는 쪽은 오히려 새정치민주연합이다.

     

  • ▲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뉴데일리DB
    ▲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뉴데일리DB

     

    <관련 보도>

    반성 없이 청산만… 새정치, '친일대첩' 잊었나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67538

     

    <기사 본문 발췌>

    지난 2004년 7월, 당시 열린우리당은 '친일진상규명법' 개정안을 제출하면서 여당을 압박했다.

    이 법안은 일본에서 근무한 장교 출신을 친일 규명 대상자로 포함키로 한 것이 특징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을 친일 진상규명 대상자로 포함시키기 위한 개정안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당시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도 "열린 우리당이 정치적 목적을 갖고 이런 일을 하면 큰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고 반발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자 상황은 급변했다. 열린 우리당 내에도 선대의 친일행적이 낱낱히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신기남 의원은 아버지가 일본 헌병 출신으로 드러나 의장직을 사퇴했으며, 이미경 의원도 아버지가 일본 헌병 출신임이 드러나 곤욕을 치렀다. 또 당시 열린우리당 김희선 의원과 유시민 의원 등의 부친도 친일 의혹이 불거졌다.

    당시 친일논란의 파장은 여당인 열린우리당에 그치지 않았다. 조기숙 전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은 증조부가 동학농민운동을 촉발한 탐관오리인 고부군수 조병갑으로 드러나 곤욕을 치렀다.

    당초 대선후보였던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해서 발의했던 법안이 계속 해서 열린 우리당 내 선대의 친일행적이 드러나는 계기로 작용한 셈이다. 열린우리당은 결국 친일진상 규명법을 부일법으로 바꾸기로 하고 조사대상자도 지위가 아니라 행위중심으로 축소 하는 쪽으로 입장을 번복했다.

    이같은 친일 논란의 과거를 고려할 때 야당이 친일파 청산을 아직도 지적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무엇보다, 아버지와 할아버지 세대가 저지른 과오의 책임을 그 후손들에게 물리는게 적절치 않다는 비판도 나온다. 새정치연합도 이제는 새누리당처럼 미래를 내다보는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 ▲ 각종 친일 논란을 겪어온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조선닷컴
    ▲ 각종 친일 논란을 겪어온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조선닷컴

     

    새정치민주연합 측이 신(神)처럼 떠받드는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도 친일 논란을 겪었었다.

    <관련 보도>

    DJ, 독도를 '한일 공동바다의 암초'로 만들다!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19694

     

    <기사 본문 발췌>

    일본의 '독도 침탈' 야욕은 1세기 전부터 시작됐다.

    1905년 일본의 시네현은 '독도를 다케시마(竹島)로 부르고 본 현의 소관 아래 편입한다'는 내용을 고시하면서 본격적으로 이빨을 드러냈다.

    이후 1952년 1월 18일 이승만 대통령은 '인접 해양 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이승만 라인 선언)'을 발표해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세계에 알렸다.

    일본 측은 1954년 9월25일 국제사법재판소에 영유권 분쟁의 최종결정을 위임하자고 한국 측에 제안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10월 28일 이를 거부했다.

    공산 중국을 견제할 필요성을 느낀 미국은 동북아시아에서 일본의 역할을 키우려는 전략을 세우고 한-일수교를 측면에서 지원했다. 이때 일본의 대미(對美) 로비가 독도에 대해서도 진행됐다. 일본의 '꼼수'는 독도에 '한일 공동등대'를 세우자는 것. 독도에는 건국대통령 이승만의 혜안에 의해 1954년 8월 10일 우리 손으로 등대가 만들어 졌다.

    정세균의 비아냥 대로 표현한다면 한때 '다카키 마사오'란 일본식 이름을 가졌던 박정희 대통령은 독도에 대해서만은 추호도 양보하지 않았다.

    박정희 대통령은 1965년 6월22일 미국 딘 러스크 국무장관이 '독도 한일(韓日) 공동 등대' 설치 방안을 제의하자 "그런 방안은 잘 되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반면 '도요타 다이쥬(豊田大中)'라는 일본식 이름을 가지고 있던 김대중 대통령은 달랐다. DJ는 일본에 무슨 약점 잡힌 것이라도 있었던 것일까? 김대중 정부가 1999년 체결한 '신한일어업협정'은 독도를 중간 수역에 포함시켜 한국과 일본이 공동 관리토록 함으로써 독도를 '한일 공동의 바다'에 떠 있는 '무국적 암초'로 만들어 놓았다.

    김대중 정부가 체결한 '신한일어업협정' 이후 일본은 지속적으로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일본 영토"라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21세기 들어서도 일본의 노골적인 '국제분쟁지역화' 시도는 끊임없이 이어졌다.

    그러던 중 2004년 7월 제주도에서 개최된 한-일(韓日) 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기자회견 도중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호칭해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일본 언론은 대대적으로 노무현 대통령의 다케시마 발언을 보도하면서 '한국 대통령이 다케시마를 용인했다'는 식의 주장을 전개했다.

    앞서 2003년 2월 23일 일본 시마네현 의회는 2월 22일을 '다케시마의 날'로 정하는 조례안을 상정했고 다나카 도시유키 당시 주한 일본 대사는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독도는 일본 땅'이라고 주장한 터였다.

    그리고 8년여가 지난 현재까지도 노무현 대통령의 '다케시마' 발언 영상이 인터넷 상에 떠돌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 새정치민주연합이 펄펄 뛰는 한-일 군사협력을 처음 추진한 사람, 야당 총재 시절 일본 대사관의 일왕(히로히토) 빈소를 찾아 고개 숙이고 대통령이 되자 일왕을 천황(天皇)으로 호칭한 사람도 다름 아닌 김대중 전 대통령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천황' 호칭 사용에 동참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5년 연두기자회견에서 "일본에서는 천황이라고 부르는데 세계적으로 보편적으로 불리는 이름인지 확인하지 못했다"며 슬그머니 '천황' 호칭 사용을 정당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