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미상 항적 식별했으나 DMZ 상공이라 사격할 수 없어"
  • 지난해 9월 15일 백령도 인근해상에서 발견된 무인기 잔해.(자료사진) ⓒ뉴데일리 DB
    ▲ 지난해 9월 15일 백령도 인근해상에서 발견된 무인기 잔해.(자료사진) ⓒ뉴데일리 DB


    북한의 지뢰·포격 도발에 따른 남북간 군사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남북고위급 접촉이 진행된 지난달 22일, 우리군이 중부전선 DMZ를 비행하던 북한의 무인정찰기를 식별하고도 격추하지 못한 것이 확인됐다.

    2일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 무인정찰기는 지난달 22일 오후 중·동부전선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우리군 GOP 상공까지 비행한것으로 밝혀졌다. 남북고위급 회담이 있기 약 2시간 전이다.

    북한은 포격 도발을 자행한 지난 20일 오후 김정은 지시로 전군에 준전시상태를 선포했고, 이에 우리군도 최전방 부대에 최고수준경계태세를 발령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우리군 병력의 장비와 병력 움직임 등을 확인하고자 중부전선 DMZ에 무인정찰기를 띄운 것으로 분석된다.

    '방현-Ⅱ'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무인기의 비행 궤적은 우리군 저고도탐지레이더와 공군 중앙방공통제소에 포착됐다. 중국의 'D-4' 무인비행기를 도입해 개조한 '방현-Ⅱ'무인기는 길이 3.23m, 고도 3㎞, 최대 시속 162㎞로 비행할 수 있으며, 작전 반경은 4㎞에 달한다.

     


  • 북한 무인정찰기가 포착되자 군은 대공경계태세인 고슴도치를 발령하고 육군의 코브라 공격 헬기와 공군의 전투기를 긴급 출격시켰다.

    코브라 헬기와 전투기는  MDL 인근에서 10여분 간 무인기 탐색을 벌였으며, 우리군이 무인기를 찾는 동안 북한 무인기는 DMZ 북쪽 지역으로 복귀했다.

    결국, 북한의 무인기가 같은 지역에서 일정하게 비행했는데도 불구하고 조종사들의 눈에 띄지 않았다는 군의 설명은 궁색한 변명으로 보인다.

    국방부 관계자는 "헬기와 전투기를 긴급히 출격시켜 무인 비행체가 DMZ 이남 지역으로 남하하지 못하도록 저지 비행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상 항적을 식별하고 헬기와 전투기를 출격시켰으나 DMZ 상공에서는 정전협정에 따라 사격이 제한된다"며 "GOP 이남으로 내려왔으면 즉각 대응하려고 했었다" 덧붙였다.

    하지만 일각에선 MDL 남쪽 GOP 상공은 우리 영공에 해당하기 때문에 즉각 격파사격을 실시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오락가락하는 군의 대응도 문제다. 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출현과 이에 대한 군의 조치가 나온 전술체계망 화면 사진이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유출된 23일 당시, 이번 사건과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결국 거짓으로 드러난 셈이다. 

    정부 한 관계자는 "DMZ 지역이지만 군사분계선을 침범한 북한 군인이나 장비에 대해서는 즉각 경고사격이나 격파사격을 했어야 했다"며 "우리 군이 DMZ 이남지역 상공을 비행하는 북한 무인기에 대한 대응 메뉴얼이 없다면 그것은 더 큰 문제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군은 사흘 동안 하루에 1~2번씩 같은 지역에서 무인정찰기가 MDL을 침범했지만 결국 육안 관측을 못해 사격을 못했다. 

    앞서 지난해 3월 24일 파주 봉일천 인근에서, 같은 달 31일에는 백령면 사곶동 인근에서 북한 무인기가 발견되고 삼척 하장면 인근에서도 북한 무인기를 찾아냈다. 이들 무인기는 분석 결과 개성, 해주, 평강지역에서 각각 발진한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