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보도서 독도 문제 논란 줄고 위안부 문제 부상'아베' '하시모토' '아소', 망언 3인방.. 불명예 등극
  •  
    일본 망언 보도 핵심은 '위안부 문제'  

    지난 10년 간 국내 언론에서 가장 논란이 된 일본의 망언 주제는 위안부였다. 망언으로 가장 논란이 된 인물은 아베 신조 총리로 나타났다. 특히 아베 총리는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해 망언을 쏟아내는 등 10년 간 망언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일본 망언 인사는 주로 관료 등 주요 정치인이었지만 점차 문화계 인사가 늘어나는 등 망언 보도의 변화도 눈에 띄었다.

    18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자체 뉴스 아카이브인 <카인즈>에 수집된 일본 망언 관련 신문 기사 10년치 기사를 뉴스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미디어 이슈> 보고서 <망언의 네트워크 : 신문 뉴스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일본 망언 보도 10년사>를 발간했다.

    분석 대상 기사는 2005년 7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까지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한겨레신문>,  <한국일보> 등 8개 신문에 보도된 기사 814건이며, 정보원은 582명, 인용문은 2,392개였다.

    먼저 공동 인용된 정보원 수를 기준으로 논란의 중심이 된 인물을 찾는 방법인 뉴스 정보원 연결망 분석 결과, 지난 10년 간 망언 논란 3인방은 아베 신조 총리,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 아소 다로 전 총리(현 부총리)로 나타났다. 아베 총리는 공동 인용 정보원 수가 무려 82명이나 됐다.

  •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 연합뉴스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 연합뉴스



    아베, 하시모토, 아소

    가장 많은 논란 일으킨 망언 3인방


    보도된 망언 건수는 하시모토 시장이 전체 595건 중 107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만 하시모토 시장은 주로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만 발언했다. 반면 아베 총리는 보도된 망언 수도 93건으로 두 번째로 많았을 뿐만 아니라, 과거사, 위안부, 야스쿠니, 평화헌법, 독도 등 망언으로 다뤄진 거의 모든 주제에서 논란을 일으켰다. 망언 인사가 가장 많은 주제는 ‘과거사’로 32명에 달했으며 독도 문제에 대한 망언 인사도 31명에 달했다.

    작가, 언론인 등 일본 문화계 인사 망언 논란 늘어

    일본인 망언 인사의 소속을 살펴보면 전체 99명 중 82%인 81명이 정치인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만 2010년대 들어 언론인이나 작가 등 문화계 인사의 망언이 보도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 1990년대 비자민당 정권이 과거사에 적극적으로 사과하면서 이에 대한 반발로 특히 극우 시민단체나 문화계 인사의 망언이 크게 늘었는데, 국내 언론은 2010년에 들어서야 이들 발언의 심각성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분석 대상 기사에서 가장 많이 다룬 주제는 위안부(352건)였으며, 독도(302건), 과거사 및 침략(179건) 순이었다.

    10년 전엔 독도 문제의 비중이 상당히 높았지만, 점차 위안부 문제가 점점 더 주목을 받았다. 기사에서 중요한 단어를 부각해 보여주는 태그 클라우드를 비교하면 2005년 1년치 기사에선 주요어가 독도와 교과서였지만 2013년 기사에선 위안부와 야스쿠니가 부각됐다.

    망언 보도는 하나를 보도하면 다른 주제도 함께 다루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독도, 위안부, 야스쿠니, 과거사, 교과서 등이 자주 함께 다뤄졌다.

  • ▲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  ⓒ 연합뉴스
    ▲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 ⓒ 연합뉴스



    "위안부 문제 대응 중요"
    망언 효과는 과거사 반성 '3대 담화' 무력화 

    전체적으로 망언 관련 보도는 독도, 위안부, 교과서, 과거사를 다룬 내용이 많고, 보도된 망언자체도 이와 관련된 주제가 많았다. 독도를 뺀 나머지는 3대 담화를 통해 일본 정부가 이미 반성을 표명한 주제다. 이는 망언이 바로 3대 담화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점점 더 논란이 되고 있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적극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

    아베 담화가 아쉬운 것은 미래지향적 관계를 요청하는 것처럼 보이는 아베 담화가 실은 근본적으로 망언 논리를 따름으로써 되려 한·일간 관계를 짧게는 무라야마 담화 이전, 길게는 3대 담화 이전인 1980년대 초로 20-30년 후퇴시킨 셈이 됐기 때문이다.

    1995년 무라야마 담화 이후, 한국과 일본은 본격적인 용서와 사과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시간이 흘러 모든 가해자와 희생자가 세상을 떠난다고 해도 용서를 가치 있게 만드는 사과의 책임과 의미는 사라지지 않는다.

    일본 전후 세대는 경제 지원 등 자신들이 스스로 만든 틀에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아시아 각국이 요청하는 대로 이전 세대가 저지른 과오와 이에 대한 반성의 역사를 솔직하고 분명히 계승함으로써, 아시아 각국과 함께 하는 평화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아시아 공동체의 미래지향적 관계는 3대 담화나 평화헌법이 있기 이전으로 돌아가는 방식이 아니라, 그보다 진일보한 네 번째, 다섯 번째 발걸음을 내딛음으로써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