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시인들이 고백하는, '49개의 사물'에 얽힌 아주 특별한 기억
  • 현재 활발히 활동 중인 여자 시인 49명이 산문집 『당신의 사물들』을 펴냈다.

    『당신의 사물들』은 여자 시인 49명이 '느끼다', '보다', '듣다', '만지다'의 네 가지 감각를 통해 사물과 마주했던 '각별했던 순간'들을 담아냈다.

    '사물거리다'라는 동사는 아리송한 것이 눈앞에 떠올라 자꾸 어른거리다 라는 뜻이다. 김소연 시인이 〈숟가락〉에서 아버지를, 유현아 시인이 〈신호등〉에서 한 노인과 소년을, 주하림 시인이 〈음반〉에서 언니를 떠올렸던 것은 모두 그것들이 눈앞에서 사물거렸기 때문이다. 

    앞서 남자 시인 51명과 여자 시인 이원이 참여했던 『시인의 사물들』이 '사물'을 통해 시인의 삶, 시선, 세계, 축적, 욕망을 그렸다면,『당신의 사물들』에서 49명의 여자 시인들은 각자의 서정이 담긴 '사물'을 통해 그들만의 문체로 산문집을 완성했다.

    시인 49인명은 각자의 사물들과 대화하고 사물과 사람 사이에서 느꼈던 순간들을 기록했다. 49개의 사물 중 비일상적이거나 특이한 사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손삽, 숟가락, 사과, 쌍둥이칼, 샤벨, 여권, 팔찌, 신호등, 콘돔, 바늘 등.

    사물 하나하나를 들여다보려고 애쓰는 시인들이 있다. 사물들의 사생활을 훔쳐보려 발돋움하는 시인들이 있다. 사물의 밑바닥을 열고, 그 안에 몸을 던지는 시인들이 있다.

    느끼고 바라보고, 듣고, 매만지려고 그 앞에서 자꾸만 서성이는 시인들이 있다. 나도 그 시인들 틈에 살짝 끼어본다. 사물에 고여 있는 말들을 꺼내 가만히 들여다보는 책, 아프고 가려운 이 계절에 『당신의 사물들』을 읽으며 시인들의 사물들에 대한 편애가 아름다워 눈을 자꾸만 비빈다.

          - 안도현(시인)


    『혼자가는 먼 집』으로 유명한 허수경 시인은 '1부 느끼다'에서「손삽」에 대해 썼다. 손삽은 씨앗을 심는 도구로서의 탄생과 죽은 새를 묻는 죽음의 도구로 이중적인 관찰을 했다. 그녀는 죽음과 탄생을 넘나드는 것을 목격하고 더 이상 꽃삽이라고 부를 수 없어 '손삽' 이라고 부르기로 했단다.

    김소연 시인의 <숟가락>은 '아빠 숟가락'의 일화를 전해 쓸쓸함을 전했다.

    윤이 나던 아빠의 숟가락은 시간이 흘러 구멍이 났다. 아빠의 사물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데 아무도 새로운 숟가락을 선물한 생각을 못했다. 아빠는 그 사실을 받아드린 채 아무 숟가락으로 식사를 하신다.

    이 대목에서 그녀가 바라본 숟가락을 통해 아버지의 쓸쓸함이 느껴졌다.

    김민정 시인은 <보자기>를 썼다. 언제부턴가 누군가 갖고 싶은 걸 말하라 할때마다 '명주 보자기'라고 답한다고 한 그녀는, 언제인가 내게 사랑하는 이가 생긴다면 무딘 재주를 갈아서라도 만들어주고 싶다고 썼다. 보자기를 펼쳐 내가 담으려는 게 마음이란 걸 누군가 보낸 보자기를 열었을 때 내 마음이 먼저 알아 채는 걸 아는 까닭이라고 맛깔나게 표현했다.

    '3부 듣다'에서 김이듬 시인은 대본형식의 <콘돔>을 썼다. 여성 시인만 쓸 수 있는 시로 해학을 담아냈다. 마지막 부분에 커피로 넘어가는 부분에서 그녀만의 특유의 재치를 보였다.

    백은선 시인은 〈우편함〉을 바라보며 말수가 적었던 한 시절의 남자를 떠올린다.

    '4부 만지다'에서 문정희 시인은 〈머플러〉를 두르며 인도에서 만났던 한 걸인 노파에게서 느꼈던 따뜻한 체온을, 박연준 시인은 〈하이힐〉을 신으며 어느 신혼부부와 같이 살며 보았던 무게를 감당하며 나아가는 사랑의 감정을 풀어놓는다.

    시인들은 저마다의 개인적인 사물들에 가만히 귀 기울였다. 그동안 살아오면서 찰나 혹은 긴 시간 속에서 사람과 사물사이를 시인의 눈으로 풀어냈다.

    김경후 시인은 「쌍둥이칼」에서 "편견과 아집으로 흐려진 눈과 마음에 들어오는 사물은 절대 사물 그대로가 아니다. 내게 그 사물은 아무 말도 건네지 않는다"고 했다.

    황혜경 "누군가에게는 흔하고 사소한 일이 누군가에게는 특별한 일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하는 사물"이 있다면서 그녀는 "'너'에게 있어서 흔하고 사소한 사물도 '나'에게 있어서는 '특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인의 감성과 눈으로 독자에게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