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펜-조우석의 문화비평]
    위안부, 반일 히스테리 숨은 연출자 정대협이 문제다

    위안부에 관한 잘못된 정보 강요…이명박정부 이후 정치권 압박

    조우석  |  media@mediapen.com
  • 조우석 문화평론가
    ▲ 조우석 문화평론가
반일(反日)이 애국이고, '반일 히스테리'만이 능사인가?
외곬로 달려온 한국사회가 진실의 순간을 앞두고 있다.
 일본 총리는 다음주 29일 미 상하원 합동연설대에 오르며
미국-일본의 신 밀월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으르렁대던 중국-일본 관계도 빠르게 정상화되고 있다.
우물 안 개구리인 우리만 반일 민족주의의 늪에 갇혀 산다.
반일 이데올로기는 한국외교 위기의 최대요인이자,
언론-학계-시민사회에 침묵을 강요하는 전체주의 공포의 주범이다.

그걸 보여준 사건이 박유하 교수의 책 <제국의 위안부>를 판매금지시킨 법원의 결정인데도 사람들은 침묵하고 있다. 이에 평론가 조우석은 지금의 반일 히스테리란 지적(知的) 파산이자, 신 쇄국주의 이념을 앞세운 마녀사냥임을 보여주는 글을 차례대로 싣는다.
①누가 박유하 교수에게 돌을 던지나? ②위안부-정신대를 둘러싼 진실
③친중 사대주의-반일 민족주의의 미망(迷妄)의 순서다.[편집자 주]

 3부작 칼럼 ‘반일(反日) 히스테리 해부’중 첫 회가 나간 뒤 다양한 반응이 있었다.
정치권-언론-학계-시민단체가 똘똘 뭉쳐 함께 돌아가는 광기(狂氣)의 지금 시대에 맞서는 용감한 시도라는 평가에서, 그렇게 한다고 상태가 나아질까라는 우려도 적지 않았다.

그중 정대협이 반일 문화권력으로 등장하게 된 앞뒤 배경을 더 설명해달라는 요청이 많았다.
오늘 글의 핵심이 그것인데, 첫 글에서 ‘권력화된 정대협’은 반일이냐 친일이냐를 따지는 판관(判官)이자, 빅 브라더라고 나는 지적했다. 1990년 설립된 그 단체가 어찌 그렇게 막강할까? 

박유하(58) 교수의 책 <제국의 위안부>에 따르면, 정대협이 큰 결정적 계기는 2011년 8월의 헌재 결정이다. 당시 헌재는 “한국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것은 위헌(違憲)”이라며 정대협이 제기했던 헌법소원을 받아들였다. 

한일관계는, 아니 세상은 그 이전과 그 이후로 쫙 갈린다.
헌재의 결정은 결국 광범위한 반일 정서에 사법부가 굴복-편승한 셈이었는데, 이후 등 떠밀린
국내정치권의 무책임한 반일(反日)의 질주가 시작됐다. 한일관계를 고도의 국제정치적 판단 아래 다루길 포기한 채 정대협의 막무가내 요구에 끌려 다니기 시작한 것이다.
  •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는 무죄다. 박교수에게 누가 돌을 던질 수 있는가? 반일 민족주의 히스테리가 극단적인 형태로 변질되고 있다. 박선아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왼쪽)가 지난해 6월 '제국의 위안부' 책을 들고 소송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 사진
    ▲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는 무죄다. 박교수에게 누가 돌을 던질 수 있는가? 반일 민족주의 히스테리가 극단적인 형태로 변질되고 있다. 박선아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왼쪽)가 지난해 6월 '제국의 위안부' 책을 들고 소송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 사진
     
    정대협,“정부 뼛속까지 친일”비난으로 한미일 동맹 흔들어

    그래서 취임 이후 이 사안에 큰 관심이 없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은 그해 말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강력 요청했다. 이게 쉽게 풀리지 않자 이듬해 전격적으로 독도로 날아가는 퍼포먼스를 했다. 

    무엇보다 일왕의 사과를 요구한 강경발언이야말로 화근이었다. 일본사회에 혐한(嫌韓)물결이 걷잡을 수 없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렇게 꼬여가던 양국관계에 또 한 번의 치명타를 가한 것도 정대협이다. 2012년 정부가 한일군사보호협정을 추진할 때 그들이 또 나섰다.

    “이 정부는 뼛속까지 친일”이라고 비난하며 한미일 동맹의 뿌리를 흔들어버린 것이다.
    반일 히스테리를 유도하는 중심에는 항상 정대협이 존재하는데, 고약하게도 박근혜 정부 이후 한일 관계는 더욱 나빠졌다.
    위안부 문제에 사과하라는 정대협의 요구를 대통령이 더 강하게 반복하기 때문인데, 이쯤에서 묻자. 진실을 마주할 순간인데, 위안부-정신대의 실체란 대체 무얼까? 왜 이리 난리인가? 놀랍게도 교과서에 위안부-정신대가 등장한 것도 정대협의 등장 이후라고 하면 당신은 믿겠는가? 

    그게 사실이다. 40대 이상이 학교 때 정신대-위안부 문제를 배운 일이 없을 것이다. 옛날 교과서는 그랬다. “여성까지도 정신대란 이름으로 끌려가 일본군의 위안부로 희생됐다”는 표현이 국내 교과서에 등장하기 시작한 건 1997년 이후다.(이영훈 지음, <대한민국 이야기> 122쪽)
    위안부-정신대가 교과서에 등장하고 외교 현안으로 등장한 건 해방 반세기를 전후한 시점이라는 게 맞다. 정확하게는 정대협 등장 이듬해인 1991년 김학순 할머니가 자기 과거를 공개하면서부터 쟁점으로 부각됐다.

    조선의 딸들이 무장 군인에게 강제로 끌려갔다?

     
  • 초판 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