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위기로 올해 말까지 5천만여명이 해고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의 외교전문매체 포린 폴리시 인터넷판은 17일 '직장 잃기 가장 좋은 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실직 후 최대 4년간 이전 직장에서 받은 임금의 80~90%를 제공하는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지역이 실직자들의 지상 낙원으로 꼽혔다.
    이 중 가장 관대한 나라는 실직 수당으로 실직전 임금의 90%를 최대 4년간 지급하는 덴마크이며, 핀란드는 최대 500일간 예전 임금의 85%를 제공하고 있다. 가장 인색하다는 스웨덴도 10달간 80%를 지원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금전적 지원뿐 아니라 컴퓨터 교육이나 이력서 검토 등 취업 프로그램까지 알차게 구비하고 있다.
    2위는 베네룩스(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지방으로 예전 임금의 60~85%를 최소 1년에서 최대 무기한 제공한다.
    벨기에의 실직자는 마지막 봉급의 60%를 무기한 지급받고, 네덜란드의 실직자는 하루 168유로의 수당과 함께 언어교육 및 단기 일자리를 제공받는다. 이전 소득의 80%를 실직 수당으로 지급하는 룩셈부르크는 최근 수당만 챙기고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젊은이가 증가하자 직업 훈련소나 정부가 제공하는 최저임금 일자리에 나가는 것을 지급 조건으로 내세웠다.
    스위스는 실직전 임금의 70~80%를 400~520일간 제공한다. 스위스는 실직자들에게만 관대한 것이 아니다. 만약 새 직장의 월급이 실직 전 직장에서 받은 월급의 3분의 2 이하라면 정부가 나머지분을 보조해 준다.
    프랑스는 최대 3년간 실직전 임금의 57~75%를 제공하는 등 실직수당이 넉넉한 편이지만 근본적으로 실직 자체가 어려운 국가이기도 하다. 프랑스 기업이 직원을 해고하기 위해서는 노조나 거래위원회에 정당한 해고 사유를 보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만큼 일자리 구하기가 쉽지 않다. 프랑스의 청년 실업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한 번도 직장을 가져보지 못한 청년이 전체의 40%에 달한다. 실직 수당 혜택 대상자에도 들지 못하는 이들은 거리에 나와 반정부 시위를 주도하고 있다.
    일본은 실업 기간, 직무 연차, 상여금을 제외한 세전 소득 등을 따지면서 까다롭게 실직 수당을 제공한다. 이 같은 증빙 서류를 꼼꼼하게 챙기면 실직전 임금의 50~80%에 해당하는 수당을 6개월~1년간 받을 수 있다.
    일본은 경제위기가 촉발 된 이후 실직자들에게 공공 주택을 제공하는 등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있지만, 전체 노동력의 30%를 차지하는 비정규직에 대한 대책은 거의 전무하다는 '맹점'을 안고 있다.(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