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 박영준 전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이 19일 '경제살리기 개각'을 통해 컴백에 성공,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박 전 기획관은 차관급인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에 내정됐다. 

    박 전 비서관의 임명은 집권 2년차 이 대통령의 '친정체제 구축'이라는 의미를 넘어 공직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적 경제위기 조기 극복과 국가 신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이 대통령의 국정장악 속도가 더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 전 비서관은 행정안전부 차관 물망에 올랐지만 한 부처에 국한하기보다 국무총리실에서 전 부처를 조정하는 역할이 더 적합하다는 시각이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이해하고 전파하는 데 더이상 적격이 없다는 평을 받고 있는 박 전 비서관은 지난해 촛불파동으로 물러난 직후부터 여권 안팎에서 꾸준히 '중용설'이 제기됐다.

    박 전 비서관에 대한 이 대통령의 신임은 여전히 두터운 것으로 전해진다. 박 전 비서관은 대선을 승리로 이끈 뒤 총선 출마를 고려했지만 이 대통령 만류로 청와대에 남아 조력했다. 박 전 비서관은 지난해 가을 중앙아시아의 주요 에너지 외교 대상국을 둘러보는 등 '에너지 국무총리'를 보좌할 내공을 다졌다.

    또 'MB표 교육정책'을 집대성한 이주호 전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에 기용된 것도 이 대통령의 의지가 읽히는 대목이다. '실세 차관' 이 전 의원의 기용은 교과부를 통한 강력한 교육개혁을 예고한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과거 정권동안 전교조 세력이 뿌리내리면서 교육 방향을 좌지우지해온 폐해를 방치할 수 없다는 사회적 요구가 들어있다. 이 전 의원은 이 대통령 교육 공약 대부분을 사실상 완성하고 주도했다. 교육 다양화를 강조하는 이 전 수석의 정책은 인수위에서부터 다듬어져 이 정부 교육정책의 골간을 이뤘다. 이 전 의원이 차관으로 가는 것이 '격에 맞지 않다'는 시각도 있지만 교육정책 혼선을 바로잡고 정부 교육정책 기조를 확실히 다지기 위해서는 피할 수 없었다. 이 전 의원 역시 "자리에 연연하기보다 일에 중심을 두겠다"며 의지를 다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이동관 대변인은 두 인사의 기용과 관련, "오래 전부터 이 대통령 국정철학을 잘 이해가고 정책적으로 보좌했던 분들"이라며 "일선에 투입해 새롭게 경제살리기에 총력 매진하는 데 앞장설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전 비서관과 이 전 의원의 개혁 행보가 순탄할 것만으로 보이진 않는다. 박 전 비서관은 지난해 '권력 사유화' 논란에 휩싸이면서 여권 내부 갈등 중심에 있었으며, 야당에서 '코드 인사' 공세 표적으로 삼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전 의원도 원칙을 중시하는 스타일로 인해 전교조 뿐만 아니라 교육계 내부 기득권층으로부터 '껄끄러운' 인물로 꼽힌다는 점이 넘어야 할 장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