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9 개각'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젊은 `복심'들이 중앙부처 차관으로 전격 발탁됨에 따라 앞으로 `차관(次官)정치'가 국정운영의 한 축으로 부상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과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에 중용된 이주호 전 교육과학문화수석과 박영준 전 기획조정비서관의 경우 새 정부 1기 청와대 참모진에 합류했다가 낙마한 뒤 불과 7개월여 만에 화려하게 복귀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이들 차관에게 `힘'이 쏠리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실세 차관' 중앙부처 전진배치 필요성은 그동안 여권 내부에서 꾸준히 제기돼 왔다. 장관들 가운데 상당수가 업무 전문성을 갖추고 있지만 이 대통령의 통치철학을 꿰뚫고 이를 국정에 반영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측근들을 차관으로 앉혀 장관을 보필하고 국정을 주도적으로 이끌게 할 필요가 있다는 논리다.

    이는 `장관 외부 전문가 또는 측근, 차관 실무관료'로 구성되는 기존의 내각 구성 틀을 깨는 것으로, 여기에는 과거 스타일로는 새 정부의 개혁작업을 제대로 뒷받침할 수 없다는 현실적 판단이 깔려 있다. 

    이에 따라 이 교육차관과 박 총리실 국무차장은 기존의 `조직 2인자' 자리를 뛰어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이 교육차관은 지지부진한 교육개혁 문제를 진두지휘하는 한편 전교조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적극 앞장설 것으로 보인다. 그는 대입 3단계 자율화를 비롯한 새 정부 교육정책의 골간을 잡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자타가 공인하는 `MB맨'인 박 국무차장은 앞으로 중앙 부처의 주요 현안과 정책과제를 조율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정책수립 및 집행과정에 있어 당청정간 `가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는 대통령인수위 시절 이 대통령의 절대적 신임을 바탕으로 청와대 참모진 및 내각 인선에 직접적으로 참여했고, 청와대 입성 이후에도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며 `왕비서관'으로 불렸었다.

    이번 인사에서 빠진 곽승준 전 국정기획수석도 다른 자리로 발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곽 전 수석은 현재 공석중인 대통령 자문 미래기획위원장으로 거론된 바 있다.

    차관정치와 관련해선 이미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이 좋은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 차관은 직속 상관인 유인촌 장관과의 적절한 역할분담을 통해 언론사태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소신있는 목소리를 내면서 이 대통령의 의중을 잘 받들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국정의 힘있는 운영을 위해 이른바 전문가형 실세들을 차관에 발탁한 것으로 안다"면서 "앞으로 국정운영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