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조선 “함경북도 요덕군 15호 정치범 수용소 폐쇄조치 중”
  • ▲ 2010년 9월 25일 美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탈북자들이 보여준 북한 강제 수용소의 실상. ⓒ뉴데일리 DB
    ▲ 2010년 9월 25일 美상원 청문회에 출석한 탈북자들이 보여준 북한 강제 수용소의 실상. ⓒ뉴데일리 DB

    김정은 정권이 인권유린으로 악명 높은 ‘요덕 수용소’를 폐쇄 중이라고 ‘조선일보’가 대북소식통을 인용, 28일 보도했다.

    국제 사회가 북한 주민들의 인권문제를 계속 제기하자 김정은 정권이 함경남도 요덕군에 있는 ‘요덕 수용소’의 기능을 다른 수용소로 분산시킨 뒤 외부에 “정치범 강제 수용소는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공개할 것이라는 게 조선일보의 설명이었다.

    조선일보와 연락한 대북 소식통은 “요덕 수용소 폐쇄 움직임이 위성에 보이지 않도록 밤에 분산해서 정치범들을 빼내고 있다”면서 김정은 정권은 정치범들을 요덕 수용소에서 모두 빼돌린 뒤 외국인이나 일반 농민 등을 동원해 ‘일반적인 농장’으로 위장하려 한다는 주장이었다.

    조선일보는 또한 “북한 당국이 별도의 수용소를 짓지 않고 정치범들을 기존에 있던 다른 수용소로 분산 수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의 이 같은 보도는 ‘가능성’은 충분해 보인다. 김정은 정권이 대외적인 이미지 제고 등을 위해 정치범 강제수용소를 줄이고 있다는 주장은 2013년에도 제기된 바 있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2013년 8월 27일 美북한인권단체 ‘북한인권위원회(HRNK)’를 인용, “북한의 회령 수용소와 북창 수용소가 폐쇄된 것 같다”고 보도한 바 있다.

    ‘미국의 소리’ 방송이 전한 내용은 ‘북한인권위원회’가 김정은 정권의 정치범 수용소 현황을 조사한 보고서였다. 이에 따르면 22호 회령 관리소는 2012년 폐쇄됐고, 18호 북창 관리소는 2006년 사실상 해체됐다고 한다.

    ‘북한인권위원회’ 측은 “상업용 인공위성이 찍은 사진을 분석한 결과 22호 회령 관리소의 감시초소들이 사라졌다”며 이를 증거로 제시했다.

    이와 함께 탈북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22호 회령 관리소 수감자들이 16호 명간(화성) 관리소로 옮겨진 사실도 밝혀냈다.

  • ▲ 북한 정치범 강제 수용소를 찍은 상업용 위성사진. ⓒ美북한인권위원회 강제수용소 보고서-디지털 글로브 촬영
    ▲ 북한 정치범 강제 수용소를 찍은 상업용 위성사진. ⓒ美북한인권위원회 강제수용소 보고서-디지털 글로브 촬영

    하지만 ‘북한인권위원회’는 김정은 정권이 왜 강제 수용소를 폐쇄하거나 해체했는지 그 이유는 알지 못한다고 털어놨다.

    이때도 일각에서 “국제사회의 북한주민 인권문제 제기 압력 때문에 강제 수용소를 폐쇄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입증할 근거는 없었다.

    일부 강제 수용소가 폐쇄됐다고는 하지만 북한에는 여전히 정치범을 상대로 인권유린이 자행되는 강제 수용소들이 존재하고 있다. 14호 개천 관리소, 16호 명간(화성) 관리소, 25호 청진 관리소 등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14호 개천 관리소와 25호 청진 관리소는 폐쇄된 강제 수용소를 대신한 시설인지 규모를 크게 확장하고 감시를 대폭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2013년 8월 ‘북한인권위원회’와 국제 앰네스티 등이 밝힌 바에 따르면, 김정은 정권이 강제로 감금하고 있는 북한 정치범 숫자는 폐쇄된 수용소 때문에 그 숫자가 줄어들기는 했어도 여전히 13만 명으로 추정되었다고 한다.

    여기다 “요덕 수용소가 폐쇄됐다”는 조선일보의 보도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김정은 정권이 현재 불법 감금하고 있는 북한 정치범 숫자는 10만 명 내외로 추산된다. 

    지금까지 요덕 수용소의 수감자 수는 3~4만 명으로 추정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