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방송 장비, 북한 요구로 설치했지만 사용 無…임대료 2억 7천만 원
  • ▲ KT가 보유한 이동형 위성영상 송출장비. 북한이 설치해달라고 요구한 위성영상 송출장비는 워낙 고액이라 임대료 또한 비싸다. ⓒKT 홍보자료
    ▲ KT가 보유한 이동형 위성영상 송출장비. 북한이 설치해달라고 요구한 위성영상 송출장비는 워낙 고액이라 임대료 또한 비싸다. ⓒKT 홍보자료

    인천아시안게임 당시 북한의 요구로 설치했지만, 실제 북한 측이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장비의 고액 임대료를 정부가 고스란히 대신 내주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인천아시안게임 당시 북한의 요구로 설치한 위성방송 송출장비 임대료 2억 7,000만 원을 정부가 대신 내주기로 했다고 한다.

    문제의 장비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방송영상을 송출하는 장비로, 인천아시안게임 이전 북한 측의 요구로 국제방송센터(IBC) 안에 설치했다. 위성방송 송출장비는 워낙에 고가인 탓에 임대 및 설치비용만 2억 7,000만 원에 달했다고 한다.

    하지만 선수단과 함께 인천에 온 북한 기자단들은 이 장비를 한 번도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관련 자료를 북한에 전송했다고 한다.

    정부는 “한국의 인터넷 속도가 경기 영상을 보내기에 충분하다 보니 이용 요금이 비싼 위성 장비를 사용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를 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정부 부처들이 ‘통일대박’이라는 청와대 기조를 따른답시고, 북한선수단의 인천아시안게임 참가에 목을 매다보니, 북한이 요구하는 것이라면 뭐든지 제공해준 게 문제라는 지적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쓸 필요가 없는 돈을 쓰게 된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통일부 등이 “인천아시안게임에 참가한 북한 선수단도 비용을 대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우면서도 실제로는 ‘남북관계 개선’에 급급해 그들의 요구를 들어준 것이라고 지적한다. 

    박근혜 정부는 최근 인천아시안게임에 참가한 북한 선수단과 기자단의 체류비 등으로 5억 5,000만 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