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기후정상회의 공동의장, 반기문‧김용 기조연설
  •    

  • ▲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유엔 기후정상회의 기후재정 세션에서 공동의장으로서 발언을 하고 있다. ⓒ 뉴데일리(청와대 제공)
    ▲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유엔 기후정상회의 기후재정 세션에서 공동의장으로서 발언을 하고 있다. ⓒ 뉴데일리(청와대 제공)

     

    23일(현지시간) 유엔기후정상회의 기후재정 세션에 한국인 세 명이 의장단석에 앉았다.
    공동의장을 맡은 박근혜 대통령과 각각 기조연설을 한 유엔 반기문 총장, 김용 세계은행 총재가 그 대상이다.

    기후재정 세션은 이번 기후정상회의 중 가장 중요한 분야로 꼽혔다. 개회식에서 반 총장과 김 총재는 잇따라 기후재원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기조연설을 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우리나라는 이명박정부 시절부터 기후 변화 대응에 선도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왔다.
    2009년 코펜하겐 당사국 총회에서 우리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대비 30% 감축하겠다”고 선언했다. 또 지난 2012년에는 유엔 기후변화협약의 재정기구인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인천에 유치하기도 했다.

    대통령은 바뀌었지만 세계 기후 정책에 대한 우리 정부의 관심은 여전히 뜨겁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유엔기후정상회의 기후재정 세션에서 공동의장을 수임, 엔리케 페냐 니에토 멕시코 대통령과 함께 회의를 공동주재 했다.

    박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세계의 이목이 유엔 기후정상회의에 집중돼 있다. 저는 기후변화라는 전 지구적 차원의 도전을 새로운 가치와 시장,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공동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오전 기조연설에서 시장과 기술이 중심이 되는 기후변화 대응을 강조했는데 이 원칙은 기후재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했다.

     

  • ▲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유엔 기후정상회의에 참석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 뉴데일리(청와대 제공)
    ▲ 박근혜 대통령이 23일 유엔 기후정상회의에 참석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 뉴데일리(청와대 제공)

     

    박 대통령은 “경제시스템이 저탄소 기후탄력적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인프라에 대한 민간투자가 확대되고, 이를 통해 저탄소 기술개발과 제품생산이 확산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민간투자에 대한 정부의 촉매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면서 “민간부문이 불확실성 때문에 녹색투자를 망설일 때 시장에 분명하고 일관된 신호를 보내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투자여건을 조성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특히 한국이 아시아 국가 최초로 내년 1월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는 등을 내용으로 한 우리 정부의 정책을 소개하면서 민간 자본의 녹색 투자를 유도하는 데 기대할 것이라 말했다.

    한편 이번 기후정상회의와 박 대통령이 공동주재한 기후재정 세션을 통해 인천 송도에 사무국을 둔 녹색기후기금(GCF)의 초기재원이 민간과 공공분야를 통틀어 200억 달러로 정해졌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폐회사에서 “기후재정을 증가시켜 나가는데 있어 분명한 경로를 제공했으며, 2015년 파리에서 더욱 효과적인 경로를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특히 이들 공약의 대부분이 민간 분야에 의해 내년까지 달성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오늘 우리는 지구상의 70억 인류에게 희망을 제시하고 기회의 문을 여는 방향으로 세계를 재편하는 위대한 첫걸음을 내디뎠다고 믿는다”며 회의를 매듭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