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군 위안부(성노예) 피해자들의 손을 잡고 위로하는 프란시스코 교황.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본군 위안부(성노예) 피해자들의 손을 잡고 위로하는 프란시스코 교황. ⓒ연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프란시스코 교황은 18일 한국을 떠나기 전 명동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면서
    ‘일본군 위안부(성노예)’ 피해자를 직접 만나 위로했다.
    이 장면은 외신을 통해 해외로 전달됐다.

    그런데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교황이 이런 ‘장면’을 보여줘야 한다는 주장이 이미 제기된 바 있어 눈길을 끈다.

    데니스 P. 핼핀(Dennis P. Halpin) 美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객원연구원은
    지난 7월 3일 美CSIS(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한국 관련 섹션에
    ‘프란치스코 교황, 위안부를 위한 로마의 메신저’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한 적이 있다.

    이 글에서 핼핀 객원연구원은
    “프란시스코 교황은 곧 예정된 방한 일정 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직접 만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핼핀 객원연구원은 글에서
    “전 세계가 2015년 2차 대전 종전 70주년 기념식을 준비하고 있지만
    아시아에서는 아직 종결되지 않은 사안이 있다”며
    일제시대 일본군 위안부(성노예)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최근 일본의 ‘고노담화 검증 보고서’는
    그 어떤 일본 지도자도 독일의 용기를 갖지 못할 것이라는 점을 보여줬다”며
    “프란시스코 교황이 8월 방한 때 (일본 정부에) 도덕적 가르침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핼핀 객원연구원은
    “일본의 고노담화 검증은 한일 관계 개선에 나쁜 징조가 되었다”면서
    “이번 검증은 담화의 신뢰성에 의심을 초래하려는 것이 명백하다”고 지적했다.

    핼핀 객원연구원은
    美독립선언문을 만든 토마스 제퍼슨이 자신과 노예 사이에 낳은 아이를
    노예로 그대로 뒀던 일화를 거론하며
    “문안 작성자의 위선을 이유로 독립선언문을 검증해야 한다는 주장은 없었다”면서
    아베 정권의 고노 담화 검증을 비판하기도 했다.

    핼핀 객원연구원은
    “일제가 감언이설, 강압, 매매, 납치를 통해
    5만에서 20만 명에 이르는 여성을 ‘위안부’로 악용한 것은
    20세기 국가가 지원한 최악의 인신매매 사례”라고 지적하면서,
    지난 4월 10일 교황청이 주최한 인신매매 관련 국제회의에서
    성노예 피해자 4명을 만난 적이 있는 프란시스코 교황이
    일본군 위안부(성노예)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핼핀 객원연구원은
    최근 런던에서 열린 ‘분쟁 하 성폭력 방지 국제회의’에서
    아베 일본 총리의 동생인 기시 노부오 외무차관이
    “분쟁 상황에서의 성폭력은 관련 국제법상의 전쟁범죄다.
    성폭력 피해자들을 시급히 도울 필요가 있다”고 말한 것도 거론하며
    “이 같은 발언을 한국 위안부 피해자들이
    기시 차관에게 직접 들었다면 기뻐했을 것”이라고 일본 정부의 ‘이중성’을 꼬집기도 했다.

    그는 이와 함께
    “일본 정부가 빌리 브란트의 용기를 발휘할 의지가 없다면,
    그 물꼬를 교황이 터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교황은 팔레스타인 서안(West Bank)과 예루살렘 분리 장벽에서 기도를 올려
    사람들을 당황케 한 적이 있는데 한국 방문 때도 ‘비슷한 제스처’를 취해
    한일 간의 화해를 위한 장기적인 과정을 열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핼핀 객원연구원은
    “교황이 고령의 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을 직접 만나는 것”이
    일본에게 보여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제스처’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핼핀 객원연구원의 '주장'이 통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프란시스코 교황은 그의 주장대로
    18일 명동성당 미사를 집전하기 전 일본군 위안부(성노예) 피해자들을 만나 위로했다.

  • 지난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시복식에서 아이에게 입맞추는 프란시스코 교황 ⓒ뉴데일리
    ▲ 지난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시복식에서 아이에게 입맞추는 프란시스코 교황 ⓒ뉴데일리

    핼핀 객원연구원은
    미국 또한 일본 정권의 ‘위안부 책임회피 문제’를 그냥 뒀다가는
    핵을 가진 북한이 부상하고 호전적인 중국 때문에
    미국의 대외전략에 차질이 생길 것이라며 미국 정부의 ‘행동’을 촉구하기도 했다.

    한편, 핼핀 객원연구원은
    일본, 한국 등의 언론에서 ‘위안부(comfort women)’라고 부르는 것은
    ‘본질을 호도하는 행동’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힐러리 클린턴 前국무장관이 2012년 위안부 문제를 보고하는 국무부 직원에게
    피해자들을 ‘강제된 성노예’라 부르도록 수정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라며
    "정확한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