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이 김민석 최고위원 문제를 두고 강공을 선택한 것은 지난달 30일. 10·29 보궐 선거에서 텃밭인 전남 여수 기초의원마저 민주노동당 후보에게 패하며 체면을 구긴 다음 날이었다.

    이날 정세균 대표는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했고 이때 김 최고위원의 법원 영장실질심사 거부를 결정했다. 당 지도부는 이 문제를 일임받았다. 김 최고위원은 영장실질심사를 받겠다고 했으나 지도부가 이를 만류했다고 한다. "김 최고위원 본인은 '영장실질심사를 당당히 받고 끝까지 싸우겠다'는 입장이나 이번 사안은 김 최고위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당의 문제로 공동인식하고, 당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하기로 했다"는게 당시 조정식 원내대변인의 의원총회 결과 브리핑이었다. 의원들은 "앞으로의 행동지침은 지도부에 일임"하기로 결정했다.

    정 대표를 향해 '야성이 부족하다'고 외치는 당내 강경파의 비판은 9월 25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오찬회담 뒤 더 확산되는 양상이었는데 보궐선거마저 참패하자 정 대표가 김 최고위원 문제를 당 결속용으로 택했다는 분석이 당 안팎에서 나왔다. 긴급 의원총회에서도 보궐선거와 관련한 언급은 단 한 마디도 없었다. 정 대표는 정부·여당을 향해 "공안정국을 조성하고, 표적사정을 하고, 보복사정을 한다"고 목소리를 키웠다.

    김 최고위원은 곧바로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농성을 시작했고 당직자들은 검찰의 강제구인에 대비해 바리케이드를 쳤다. 이렇게 시작된 김 최고위원 거취 문제는 이제 민주당에 큰 짐이 됐다. 이 문제를 일임받은 정 대표는 더 큰 고민이다. 퇴로를 열어두지않고 달려와 뒷걸음질을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여전히 정 대표는 대변인을 통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당내에선 김 최고위원 거취를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박주선 최고위원이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도부에 "의원직을 걸고 김 최고위원의 신원보증을 서자"고 공개 제안했지만 씨알도 먹히지 않은 것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

    여기에 야당이 요구해 실시한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의 헌법재판소 접촉 발언 진상조사가 실익없이 끝났고, 쌀 직불금 국정조사 역시 명단제출 문제를 두고 힘겨루기를 하다 헛바퀴만 돌고있어 민주당 내부에서조차 비판이 나오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지율은 좀처럼 오르지 않고 오히려 하락해 '정세균호'의 입지는 점차 좁혀지고 있다. 당 관계자는 "당 안팎에서 정 대표에게 '야성이 부족하다' '물렁하다'는 비판이 나오니까 정 대표 입장에서는 '좀 세게 가자'는 판단으로 (김 최고위원의 농성 아이디어에) 동의를 해 준 것일텐데 명분있는 싸움이 아니라 이기기 힘들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