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만복 前 국정원장 대화록 거짓말 논란

    “입 닫은 김 전 원장 무책임의 극치, ‘허위’ 발언 공식 정정해야”

    박주연(독립신문)    

    국가정보원이 지난달 24일 공개한 제2차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에 대해
    “나 몰래 작성된 문건”이라고 밝힌 김만복 전 국정원장이 거짓말 논란에 휩싸였다.

    김 전 원장은 3일 미디어오늘과의 인터뷰에서 대화록 작성 일자가 ‘2008년 1월 3일’로 기록된 것과 관련해 “당시는 내가 국정원장에 재임하던 시기였는데도 2008년 1월에 작성한 사실조차 몰랐다”며 “나는 분명히 (청와대 지시에 따라) 2007년 10월에 작성해 청와대와 국정원 각각 1부씩 보관하도록 담당 국정원 간부에게 ‘1부만 보관하고 나머지가 있다면 전부 파기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당시 지시는 구두로 이뤄졌으며, 담당책임자는 고위 간부였다고 김 전 원장은 설명했다.

    김 전 원장은 ‘2008년 1월’에 새로 작성된 행위 자체에 대해서도 “항명죄이자 보안누설죄에 해당한다”며 “버젓이 1부가 남아있는데 왜 다시 제작하느냐”고 비판했다.
    김 전 원장은 “이미 2007년 10월에 작성이 완료돼 국정원은 (1부에 대한) 2급 비밀 보관 관리만 하고 있어야 하는데, 왜 새로 만들었는지 납득이 가질 않으며 이는 의법 조치해야 한다”며 “(새로 작성한 자료를 정상 절차대로 보고한 일이 있다는 국정원 측 설명에 대해) 정상적인 절차대로 보고했다는 말은 있을 수 없다. 원장이던 내가 (2008년 이후) 청와대에 보고한 사실이 없는데 어떤 절차대로 보고했다는 말이냐”고 힐난했다.
  • ▲ 2007년 10월 2일 평양 4.25 문화회관 광장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서 김정일과 악수를 나누는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
    ▲ 2007년 10월 2일 평양 4.25 문화회관 광장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서 김정일과 악수를 나누는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
     그러나 이 같은 김 전 원장의 주장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원은 5일 ‘보도 참고 자료’를 통해 “김만복 전 국정원장이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2008년 1월 생산된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작성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2008년 1월 김 전 원장의 지시에 따라 회의록을 생산했으며 당시 김 전 원장이 직접 서명한 근거 문건도 보관하고 있다”며 이같이 반박했다.

    국정원은 이어 “5일 오전 당시 국정원 실무책임자(현직 간부)가 전화해 김 전 원장에게 ‘2008년 1월 생산 원본을 추인한 원장님의 친필 서명이 남아 있습니다’라며 주의를 환기시켰고, 김 전 원장은 ‘자필로 서명한 문건이 남아 있다면 본인이 잘못 알고 있는 것 같다’고 사실상 잘못을 시인했다”고 덧붙였다.

    김 전 원장은 사실 확인에 나선 조선일보 측에 “소모적인 정쟁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언론 접촉을 더 이상 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라는 중요한 기밀문서에 자신이 직접 사인을 했으면서도 기억하지 못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온다.

    한 네티즌은 “기밀 누설죄와 항명죄라고 큰소리칠 땐 언제고 이제 와서 잘못 알고 있었다고?
    만약에 본인의 친필 사인이 있다고 확인해 주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자신이 한 일을 덮어씌우려 했을 것이 아닌가?”라며 “김정일 앞에서 비굴한 저자세로 일관한 노무현과 그 앞에서 굽실굽실 하던 김만복, 이제는 거짓말까지”라며 꼬집었다.

    자유언론인협회 김승근 미디어위원장은 “김 전 원장은 국정원 공격에 앞장선 미디어오늘과 단독 인터뷰에서 허위사실에 근거해 자신이 몸담았던 국정원을 비난하는 발언을 쏟아냈다. 자신의 지시에 따라 일을 한 후배들을 향해 ‘항명죄’ ‘보안누설죄’ 등 터무니없는 명예훼손성 발언도 거침없이 했다. 그래놓고 사실이 밝혀지자 소모적인 정쟁에 휘말리지 않겠다고 입을 닫았다. 무책임의 극치”라며 “정말로 김만복 전 원장이 착각한 것이라면, 소모적인 정쟁을 막기 위해 본인의 발언을 공식적으로 정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착각이 아니라 일부러 거짓말을 한 것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주연 기자 phjmy9757@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