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성공,
    포털 개혁에 달렸다


    [제언] 변희재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장


  • 지난 2007년 3월 포털사이트의 언론권력을 통한 대선개입을 방지하기 위해 출범한 애국우파 인터넷신문들의 모임인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이하 인미협)는 2012년 대선의 해를 맞아 포털뉴스 데일리 모니터링 사업을 시행한 바 있다.

    모니터링 방식은 지난 6월 13일부터 주말을 제외한 주 5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에 걸쳐 메인화면에 뉴스를 편집해 배치하는 미디어다음, 네이트, 야후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이 모니터링 결과를 기사화해 <빅뉴스>, <올인코리아>, <조갑제닷컴>, <뉴데일리> 등 인미협 회원사들의 뉴스 사이트에 게재돼 포털뉴스 편집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정치권, 기업 홍보실, 애국성향의 네티즌들에 제공한 바 있다.
    모니터링 결과 다음과 같은 편집 경향이 두드러졌다.


    뉴스 포털 모니터링 8가지 결론


    첫째, 미디어다음의 경우 친노포털이라 불러도 될 정도의 수준으로 노골적으로 민주통합당, 그것도 문재인 후보와 박원순 서울시장에 대한 찬양성 기사만 집중적으로 배치했다.

    둘째, 미디어다음의 경우 전체적으로 대기업에 대한 비판 기사를 속속 띄우면서도 전체 포털 모두가 공격 대상으로 삼고 있는 삼성 이외에 현대자동차에 대한 집요한 공격 편집을 유지하고 있다.

    셋째,
    미디어다음의 경우 이명박 정권에 대해 조금이라도 부정적인 기사는 어김없이 볼드체로 처리, 하루종일 게재해 반정부 여론을 선동하고 있었다.

    넷째, 미디어다음의 경우 새누리당의 유력한 대선 후보인 박근혜 후보를 직접 공격하는 편집은 자제하는 척했으나 새누리당 내의 비판, 예를 들면 정두언 의원 체포동의안 관련해 박근혜 후보에 불리한 기사는 직접적으로 노출시키며 흠집내기를 시도했다.
    물론 대선 일이 다가올수록 편향된 편집은 도를 더해갔다.

    다섯째, 미디어다음, 야후, 네이트 공히 경제와 관련해서는 심리적 경제위기를 조장하는 선동적 기사를 볼드체로 집요할 정도로 연속 배치시켰다.

    여섯째, 대기업 SK커뮤니케이션이 운영하는 네이트의 경우 약간의 시차를 두고 미디어다음의 편집을 그대로 따라가는 경향을 보였다.

    일곱째, 미국계인 야후의 경우 반사회적, 범죄형 편집을 통해 노골적으로 사회의 공동체를 파괴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이런 야후는 결국 시장에서 퇴출됐다.

    여덟째,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의 책 출판 이후 미디어다음, 야후, 네이트 모두 안철수 원장 띄우기에 혈안이었다.

    이는 안철수 원장이 백신 사업 무료화 문제로 네이버의 협박에 굴복해 백기투항하는 등 포털사 입장에서 가장 만만한 호구 수준의 대선후보라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약 한 달여 간의 모니터링 시행 결과 네이트 측에서는 선정적인 볼드체 편집을 포기하고 정치적 중립화 방안을 연구하는 등 포털사 스스로 자정의 노력이 뒤따랐다.

    이는 이제껏 포털의 뉴스 편집에 대해 그 어느 기관도 모니터링을 하지 않아 포털사 임직원들의 정치성향과 클릭수만을 노린 선정적 편집이 마구잡이로 자행돼 왔다는 점을 방증한다.
    인미협의 경우 단 한 명의 모니터링 요원을 배치해 한 달 안에 포털사의 자정 노력을 이끌어냈던 것이다.

    반면 노무현 정권 당시부터 노골적인 친노편집으로 지탄을 받아오며 MBC와 함께 2008년 광우병 거짓선동을 주도해온 미디어다음의 경우 그 어떤 자정의 노력도 보이지 않고 있다.

    심지어 여당 최고위원이 주최하는 토론회에도 일방적으로 불참하는 오만한 작태를 보였고 대선 이후에도 여전히 인수위와 국정원을 공격하며 밤의 대통령으로 위세를 과시하고 있다.


    포털에 난타당한 MB정권, 스스로 책임져야


    미디어다음이 이렇게 오만한 권력으로 변질된 이유는 2007년 대선 당시 친노종북 성향의 편집으로 비판을 받고 광우병 거짓선동으로 그 정체가 드러났음에도 이명박 정부와 집권여당에서 포털 개혁을 위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디어다음의 입장에서는 박근혜 정권이 들어선다 해도 “어차피 너희는 지난 5년 간 포털 개혁을 할 능력도 의지도 보여주지 못하지 않았느냐”고 비웃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모니터링 요원 한 명을 투입해 큰 성과를 냈던 인미협 측은 모니터링 요원을 운영할 자금이 없어 대선 직전부터 두 손을 들고 말았다.
    인미협의 포기로 아무런 감시도 받지 않는 다음은 무차별적으로 정권과 우파진영을 공격하며 정권 전복에 나서고 있다.

    친노포털 다음은 이미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 임명을 지적했고, 김용준 총리 후보도 낙마시켰다. 이들은 개각을 앞두고 전 부처의 장관 후보에 대한 음해기사를 메인에 걸어놓으면서 언론사들을 유도할 것이다.

    이미 친노포털 다음은 윤창중 대변인에 대한 음해기사를 끊임없이 메인에 걸어놓으면서 인터넷신문 기자들에게 “윤창중을 공격하면 메인에 걸어준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바 있다.

    지금과 같은 포털은 노무현 정권 당시 언론사를 죽이려던 친노세력이 계획적으로 지원하며 양적으로 성장해왔다.
    이들은 언론권력을 누리면서도 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기 위해 신문법의 의무에서 벗어나게 됐다. 이 모든 것이 친노세력의 계획이었다.

    친노세력의 계획대로 한국의 언론사들은 이미 포털사에 종속됐다.
    뉴스 메인편집을 포기한 네이버 역시 클릭수를 적선하듯 넘겨주면서 언론사들을 줄세우고 있다. 포털에 대해서는 엄밀히 말하면 대한민국 정부가 아닌 대한민국 언론사들이 대응했어야 했다.

    그러나 이미 언론사들은 포털과 싸울 의지도 능력도 상실했다.
    하루하루 포털에 자신들의 기사가 노출되기만을 바라며 노예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포털과의 싸움은 대한민국 언론정상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포털에 빼앗긴 언론의 지위를 되찾으면서 언론의 사명과 능력도 되찾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는 선택의 기로에 섰다.
    불법적으로 언론권력을 탈취해 대한민국 정부를 전복시켜려는 친노포털 다음에 굴복할 것인가, 정당한 법과 원칙으로 포털을 개혁할 것인가. 이명박 정권은 후자를 선택했다가 포털로부터 난타를 당한 뒤 추락했다.
    박근혜 정권은 선택의 여지조차 없는 것이다.

    변희재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 회장 /  미디어워치 대표

    출처 <미래한국>  futurekorea@futurekore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