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방위 1차 전체회의, 여야 간 고성... 이효성 위원장, 박대출 지적에 자리 피해
  • 21일 오전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에 참석한 이효성 방통위원장.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21일 오전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에 참석한 이효성 방통위원장.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취임한지 두달이 지났지만 이효성 방통위원장의 '자격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인 모양새다. 

    지난 1월 이후 8개월 만에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자유한국당이 이효성 방통위원장의 자질문제를 언급하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거세게 반발하며 여야 간 치열한 공방이 오갔다.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과방위 제1차 전체회의에서 첫 질의자로 나선 박대출 자유한국당 의원은 "인사청문보고서조차 채택되지 못한 분이 이 자리에 앉아 있다"며 이효성 방통위원장을 향해 포문을 열었다.

    박대출 의원은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제시한 공직자 인사기준 5가지에 모두 걸리는 '전관왕'이라 자격 흠결이 크다"며 "이 위원장은 자진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 21일 오전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에 참석한 박대출 자유한국당 의원.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21일 오전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에 참석한 박대출 자유한국당 의원.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박대출 의원은 "이효성 위원장은 최근 KBS·MBC에 대해 감사원 감사를 의뢰하고 책임을 묻겠다고 한 적이 있는데 방통위는 공영방송 사장에 대한 인사권이 없다"며 "이는 명백한 월권이자 불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은 정권 교체 초기 방통위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으로 발탁된 김용수 차관을 겨냥했다.

    강 의원은 "방통위원 자리는 방송의 공정성과 중립성을 담보하기 위해 법에서 임기 3년으로 보장하는데, 김용수 차관은 방통위원 위치에서 하루 아침에 사직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으로 옮겨갔다"며 "이는 시정잡배만도 못한 일이며, 공무원의 자격이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여당 측이 강효상 의원을 향해 목소리를 높였다. 여당 의원들은 야당의 비판 발언이 이어질 때마다 지속적으로 항의하며 고성을 쏟아냈다.

    신경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오히려 국회 상임위원회가 월권을 행하고 있다"며 "이건 인신모욕에 해당한다"고 이 위원장을 두둔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신 의원은 "이 자리에서 할 이야기는 아니다"라며 "차라리 다음에 제대로 상임위원회를 열어서 별도로 이야기하자"고 했다.

    고용진 민주당 의원은 "의사진행 취지에 맞게 발언해달라"고 주장했다. 그는 위원장은 의사진행발언이 취지에 맞지 않게 이뤄질 때 발언권에 제재를 가해야 한다며 야당 측에 각을 세웠다.

    1시간가량의 전체회의가 끝난 후에는 이효성 방통위원장과 박대출 한국당 의원의 직접적인 설전이 이어졌다.

     

  • 21일 오전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에 참석한 이효성 방통위원장을 놓고 여야 의원들 간의 치열한 공방이 벌어졌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21일 오전 국회 과방위 전체회의에 참석한 이효성 방통위원장을 놓고 여야 의원들 간의 치열한 공방이 벌어졌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박대출 의원은 이효성 위원장을 향해 "정치적 발언을 그만하고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나아가 최근 있었던 이효성 위원장의 '여성 비하 발언'에 대해 따져물었다.

    지난 13일 이효성 위원장은 방통위 전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강연에서 "남자는 외부 업무적인데 여자들은 집에서 집안일 하거나 노인분들 모시느라 기억력이 좋다", "남자들은 정치 이야기를 할 때 여자들은 자기 자랑을 많이 한다"는 발언을 던져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이효성 위원장은 "거짓이며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고, 박 의원은 황당하다는 듯 "언론을 못 믿으면서 무슨 방통위원장을 하느냐"고 꼬집었다.

    계속되는 지적에 당황한 기색을 내비치던 이효성 위원장은 유승희 민주당 의원의 안내를 받으며 회의실 밖으로 몸을 피했다.

    한편, 이날 전체회의에서는 지난해 국정감사 결과보고서 채택 및 2017년 계획서 채택, 177건 법률 개정안 상정 등이 논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