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나 지금이나 ‘자유통일’ 포기의 대안이 ‘민족해방’?국민의 선택 시점이 바로 목전이다!
  • 李 竹 / 時事論評家

      “절망하지 마시오. 우리는 결코 여러분을 망각하지도 도외시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근본적 목표는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미래에도 그대로 유지 될 것입니다. 그것은 북쪽의 우리 땅과 우리 동포를 되찾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북녘 공산괴뢰집단의 전면 남침이 있던 당일부터 전쟁목표를 ‘자유통일’로 정했던 이승만 대통령은 휴전[정전]협정이 체결된 후, 8월 10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북녘 동포들에게 이렇게 이 나라의 다짐을 고(告)했다. 휴전[정전]을 받아들일 수 없어 그 협정을 ‘승인’하지는 않았지만, “방해하지 않기로” 동의하면서...

      남침전쟁이 발발하고 3일 만에 수도 서울이 적(敵/赤)의 수중에 들어갔다. 이 나라의 힘만으로는 공산제국 소련의 지원을 받고 있는 북녘 괴뢰집단을 이길 수 없어, 양키나라와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양키나라의 참전(參戰)에 이어, 유엔군이 ‘대한민국과 자유 수호’를 위해 이 땅을 밟았다.

      당초 양키나라와 유엔의 전쟁 정책은 ‘전쟁 이전 상태의 회복’이었다. 북위 38도선을 넘어 남침한 북괴군을 다시 38도선 이북으로 내쫓는 거였다. 하지만 이승만 대통령은 “공산괴뢰집단의 불법 남침으로 ‘국제적 합의선’인 38선이 폐기됐다. 따라서 북진(北進)하여 자유통일을 쟁취해야 한다.”고 고집하고 이를 관철시켰다. 드디어 “한반도에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통일한국정부 수립”이 공표된 것이다.

      이러한 ‘북진 통일론’이 양키나라와 유엔의 전쟁 정책으로 채택되는 계기가 바로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에 이은, ‘9·28 서울 수복(收復)’이라고 전쟁사가(戰爭史家)들은 적고 있다. 이후 10월 1일 38선을 돌파, ‘북진’의 장도에 오른다.

      인해전술(人海戰術)을 쓰는 뛔놈 군대의 개입으로 비록 ‘자유통일’의 담대한 꿈은 “일단” 좌절되고 말았지만, 휴전[정전]에도 불구하고 ‘자유통일’은 이 나라 국민들의 가슴과 머리에서 지워지지 않고 있는 지상의 목표이자 명령인 것이다. 물론 대한민국 헌법에도 뚜렷하게 명시되어 있다. 이에 반해...

      남침 전쟁을 일으킨 북녘 공산괴뢰집단의 전쟁 목표는 뻔했다. 한반도의 공산화[赤化]였다. 그리고 전쟁 명분으로 “민족해방”을 내걸었다. 이후에도 북녘의 세습독재정권은 이를 ‘전가(傳家)의 보도(寶刀)’처럼 부르짖으며, 대남 적화(赤化)를 지속적으로 획책해 오고 있다.

      이렇듯 남과 북은 전쟁을 계속해 왔다. ‘자유통일’과 ‘민족해방’ 간의 전쟁이다. 이 나라 대다수 국민들은 ‘자유통일’의 전쟁이 “평화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데 이견(異見)이 없다. 그리 믿고 따르고 실천해 오고 있다. 다만 1950년 6월의 불장난을 재현하려 한다면 ‘비평화적인 방도’에 의해서라도 북녘을 해방시킬 수밖에 없다는 각오를 아직 거두지 않고 있다.

      그런데...

      이제 “전쟁이 끝났다”는 선언을 하자고 한다. 북녘의 ‘비핵화’(非核化)를 이끌어내기 위한 선(先) 조치로서, 그리고 “적대 관계와 군사적 긴장을 해소”하고 “항구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란다.
      그럴듯한 명분과 ‘평화’라는 매혹적 구호를 내세우고 있지만 그의 실현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은 ‘동족상잔’의 전쟁범죄를 저질렀던 집단의 선의(善意) 뿐이지 않은가. 그리고 북녘의 ‘비핵화’라는 것이 어느 세월에 어떻게 결말이 날지 모르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전쟁이 끝났다”고 외쳐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나라가 ‘자유통일’을 포기하겠다고 공언(公言)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과연 저들도 ‘종전 선언’으로 ‘민족해방’의 욕심을 접겠는가.
      이 땅에서 ‘자유통일’을 제외하고 나면 남는 것은 잘 해야 ‘영구(永久) 분단(分斷)’이다. 그것도 저들이 ‘민족해방’을 완벽하게 포기한다는 전제하에서만 가능하다. 사정이 그러하니, ‘자유통일’을 포기한다면 ‘영구 분단’이나...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한다는 민족자주의 원칙을 확인했습니다. 남북관계를 전면적이고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끊어진 민족의 혈맥을 잇고 공동 번영과 자주 통일의 미래를 앞당기자고 굳게 약속했습니다...” <평양 ‘5·1경기장’ 연설 중에서>

      결국 길은 ‘민족자주의 원칙’에 입각한 ‘자주(自主) 통일’ 이외에는 없는 것 아닌가. “이게 어떻게 ‘민족해방’과 같으냐?”고 되묻는 이 나라 국민들도 있긴 있지 싶다. 그러나 ‘자유통일’과는 내용과 질적으로 도저히 같을 수 없다. 따라서...

      북녘의 세습독재자의 친절한 안내로 그의 노예들 앞에서, 그들의 열광적인 환호 속에서 외친 그것들을 추구·시도·획책해 나간다고 하면, ‘북진’(北進)과 ‘자유통일’의 디딤돌이 되었던 국군과 유엔군의 인천상륙작전에 이어 이 나라 귀신 잡는 해병(海兵)의 손으로 태극기를 올린 ‘9·28 서울 수복’은 마땅히 “오랫동안 쌓이고 쌓인 폐단” 즉, 적폐(積弊)일 수밖에 없다.
      크게 지속적으로 기념해야 할, 기억해야 할 장거(壯擧)가 아니라, 청산(淸算)해야만 할 못된 과거 부스러기의 하나에 불과한 게 되고 만다. 그렇다면...

      세 번의 남북 정권 간 수뇌회담, 다시 열릴 듯한 양키나라와 인민공화국의 담판, 그리고 “빠른 시일 내”라는 북녘 세습독재자의 서울 나들이 등등...

      이제 때가 왔다. 이 나라 국민들은 선택해야 한다.
      평화의 화려한 옷을 걸친 굴종(屈從)과 노예의 ‘민족해방’으로 가는 ‘종전(終戰)’인가, 아니면 결코 평화롭지 못할 수도 있는 ‘자유통일’ 전쟁의 승리인가를...

      아울러서...

      ‘북진’(北進)과 ‘자유통일’의 적극적인 ‘동조자’ 또는 ‘조력자’로서 커다란 대가(代價)를 치룬 양키나라도 결정의 순간이 임박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만 여명의 젊은이가 낯선 땅에서 스러져간 그 희생을 외면한 채, 이제 와서 그 ‘적폐’(積弊)를 인정·반성하고 ‘종전(終戰) 선언’에 가담할 것인가. 아니면 이 땅의 ‘자유통일’ 그날까지 이 나라 국민들과 함께 평화의 전쟁을 계속할 것인가를...
    <이 죽>